반응형
부가적인 검색 API
-
10. 검색 APIBackEnd/elasticsearch 2021. 9. 25. 07:33
엘라스틱서치는 색인 시점에 Analyzer를 통해 분석된 텀(Term)을 Term, 출현빈도, 문서번호와 같이 역색인 구조로 만들어 내부적으로 저장합니다. 검색 시점에는 Keyword 타입과 같은 분석이 불가능한 데이터와 Text 타입과 같은 분석이 가능한 데이터를 구분해서 분석이 가능할 경우 분석기를 이용해 분석을 수행합니다. 이를 통해 검색 시점에도 텀을 얻을 수 있으며, 해당 텀으로 역색인 구조를 이용해 문서를 찾고 이를 통해 스코어를 계산해서 결과로 제공합니다. 엘라스틱서치에서 제공하는 검색 API는 기본적으로 질의(Query)를 기반으로 동작합니다. 검색 질의에는 루씬에서 사용하던 전통적인 방식의 URI 검색과 RESTful API를 이용한 Request Body 검색이 존재합니다. 1. 실습 ..